전단보강 일체형 탄성받침 (DSRB)
Developed Shear reinforcing Rubber Bearing
탄성받침은 보강철판과 탄성중합체(고무)가 적층으로 구성되어 수직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강철판으로 보강하고 수평하중에 대해서는 고무가 가지고 있는 탄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평변위 및 회전을 수용하도록 개발된 교량 지지용 받침이다.
탄성받침의 개발 초기에는 탄성받침을 구성하는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패드가 분리되어있는 제품(KS F 4420 B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롤오버현상 및 탄성패드의 미끌림으로 인한 받침 이탈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어 근래에는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패드가 결합 되어진 구조의 제품(KS F 4420 C형)을 주로 사용한다.
번호 |
품명 |
재질 |
1 |
PAD |
합성고무 또는 천연고무 |
2 |
상부 PLATE |
SM490 또는 동등이상 |
3 |
하부 PLATE |
SM490 또는 동등이상 |
4 |
앵커볼트 |
10.9 Grade 또는 동등이상 |
5 |
앵커소켓 |
SS400 또는 동등이상 |
특징
교량받침이 설치된 교량구조물은 상부에서 발생된 하중이 교량받침의 앵커를 통해 하부로 전달되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부구조물에 삽입되어지는
받침부 앵커소켓은 그 상단의 일부가 받침부 하부 플레이트로 삽입되어 수평력에 대한 충분한 전단강성을 확보하여야한다.
그러나 받침부 앵커소켓이 하부플레이트로 삽입되면 받침교체 필요시 인상 높이는 앵커소켓 상단의 삽입깊이 이상이 필요함으로 받침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따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탄성받침의 대부분은 앵커소켓을 받침부 하부플레이트에 삽입하지 않고 단순히 볼트로 체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받침부 구성은 전단저항력이 큰 앵커소켓이 전단저항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앵커소켓을 결속시키기 위한 연결볼트가 전단에 저항하는 문제점이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진시 발생하는 큰 수평력까지 연결볼트가 지지해야 하는 안정성 확보에 불리한 구조가 되며 볼트가 수평력을 저항하지 못하고 파단되는 현상까지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은 단순한 볼트 체결로 앵커소켓을 고정시켰을 경우 교량받침에 작용하는 활하중 등의 요인으로 잦은 진동에 따른 볼트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교량받침의 이탈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단보강용 앵커 내부소켓을 적용하여 전단력을 보강하는 동시에 받침교체에도 문제가 없게 하였고, 이중나사선을 이용한 앵커볼트의 적용으로 진동에 의한 볼트풀림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였다.
제품 TYPE
고정단 |
교축방향 가동단 |
교축직각 가동단 |
전방향 가동단 |
 |
 |
 |
 |